2020. 1. 13. 12:20ㆍ의료
패혈성 인후염에 걸렸을 때 빨리 낫는 법
목이 아픈 것은 고통스러울 수 있다. 하지만 단순히 목만 아픈 인후염에 걸렸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패혈성 인후염에 걸렸다고 판단할 수는 없다. 대부분의 인후염은 목감기, 즉,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며 며칠만 지나면 자연적으로 회복이 된다. 하지만 패혈성 인후염의 경우에는 연쇄상구균이라는 박테리아에 의한 감염이며 심한 증상이 발생할 수도 있고 항생제를 사용해서 치료해야 할 수도 있다. 이 글에서는 패혈성 인후염에 걸렸을 때의 적절한 치료법과 빨리 낫는 법에 대해 배워볼 것이다.
파트
1
패혈성 인후염 치료하기
1
패혈성 인후염의 증상 알아보기. 패혈성 인후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인 감기처럼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패혈성 인후염에 걸려도 우리 몸의 체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며칠, 길게는 한 주만 지나면 의사의 도움 없이 회복할 수 있다. 일단 그 증상에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1][2]
38.3도 이상의 고열
목의 림프선의 붓기
피로
발진
두통
메스꺼움 혹은 구토
편도선이 붓거나 빨갛게 변하고 흰색 점이 보임
2
병원게 가기. 사실 패혈성 인후염을 치료하는 것은 간단하다. 하지만 병원에서 제대로 된 처방전을 받았을 때의 얘기다. 만약 자기 증상이 위의 언급된 것들 중 하나에 포함된다면 병원에 먼저 가는 것이 좋다. 패혈성 인후염은 방치했을 때 몸에 퍼져 다음과 같은 심각한 질병을 초래할 수 있다:[3]
성홍열
신장병
심장과 관절, 신경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류마티스 열.
3
진단시험 받기. 병원에 가면 의사가 검사를 위해 목의 림프절을 중심으로 촉진을 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패혈성 인후염인지 확실히 알아보기 위해 검사를 해보자고 할 수도 있다.
결과가 가장 빨리 나오는 것은 신속 항원 검사법으로 의사가 면봉 등으로 목 안쪽의 샘플을 채취하게 된다. 이 시험은 몇 분 안에 결과가 나오긴 하지만 그 정확도가 살짝 떨어질 수 있다.[4] 여기서 결과가 음성으로 나오더라도 증상이 명확하면 다른 검사를 추가적으로 받을 수도 있다.
인후배양의 경우에도 위와 마찬가지로 목 안쪽의 샘플을 소독한 면봉 등을 통해 채취하게 된다. 이렇게 채취한 샘플은 실험실로 보내져서 1~2일 정도 배지에서 패혈성 인후염 박테리아가 자라는지 확인하는 과정에 쓰이게 된다.[5]
4
항생제 복용하기.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 패혈성 인후염이 있음이 판명되었다면 의사가 박테리아 제거를 위한 항생제를 처방할 가능성이 높다. 복용 기간은 처방되는 항생제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10일치를 처방한다. 보통 패혈성 인후염에는 페니실린이나 아목시실린이 처방된다.[6]
증상에 구토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항생제를 알약이 아닌 주사로 처방 받을 수도 있다.[7] 혹은 항생제와 함께 메스꺼움 방지약을 복용하게 될 수도 있다.
일반적인 항생제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경우에는 다른 항생체를 처방받을 수도 있다. 주로 세파렉신(케플렉스), 클래리스로마이신(바이액신), 아지트로마이신(지스로맥스), 클린다마이신 등이 이에 속한다.[8]
5
항생제 끝까지 복용하기. 항생제를 복용하고 하루나 이틀 정도가 지나면 증상이 완화되기 시작할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도중에 복용을 멈춰서는 안 된다. 반드시 약이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다 복용해야 한다. 도중에 멈추게 되면 재감염은 물론 항생제에 면역성을 지닌 박테리아가 생겨나 상태를 악화시킬 수도 있다.[9]
항생제를 복용하는 과정에서 모든 지시사항을 따르도록 한다. 빈속에 먹지 않고 알코올을 피하고, 하루에 몇 차례 복용해야 하는지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햐다.[10]
항생제를 복용해 증상이 나아진다고 바로 직장이나 학교에 가지 않도록 한다. 항생제를 복용해도 24시간 동안은 보균자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을 감염시킬 확률이 있다.[11][12]
파트
2
불편한 목 가라앉히기
1
진통제 복용하기. 시험 결가를 기다리는 동안(혹은 항생제를 먹으면서 증상을 완화나는 동안), 약국에서 진통제를 복용하면 아픈 목과 발열을 동시에 가라앉힐 수 있다. 패혈성 인후염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에는 주로 이부프로펜(애드빌)과 아세트마이노펜(타이레놀) 등이 쓰인다.[13]
19세 이하의 청소년 및 아이에게는 라이 증후군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아스피린을 복용시키지 않는 것이 좋다. 자칫하면 경련, 혼수상태에 빠지거나 뇌에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14]
2
따뜻한 소금물로 가글하기. 따뜻한 물 230ml에 소금 1/4티스푼을 넣고 녹이면 용액은 완성된다. 이를 입에 넣고 목 뒤까지 골고루 대략 1분간 헹구도록 한다. 가글이 끝나면 반드시 세면대에 뱉도록 한다.[15] 이 방법은 목의 통증을 가라앉히기도 하며 부작용이 없어 하루에도 몇 번이고 반복할 수 있다.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이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소금물을 삼키거나 기도에 걸리지 않고 제대로 가글할 수 있는 나이가 되어야 할 것이다.[16]
3
잠 자기. 수면은 면역 체계가 항생제의 도움을 받아 박테리아를 몸에서 몰아내기 위한 시간과 자원을 공급한다.[17] 신체가 기본적으로 필요로 하는 8시간의 수면 이외에도 추가로 4~5시간을 자도록 하자. 이불을 덮고 천장이나 주변에 선풍기가 있다면 끄도록 하자. 점액이 코 뒤로 넘어가는 후비루를 예방하는 것이 좋다. 후비루는 목의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
4
충분한 양의 음료 마시기. 음료를 마시는 것은 목을 촉촉하게 해주며 탈수를 막고 삼키는 과정의 통증을 완화시켜준다.[18]
마셔야 하는 물의 양은 남성과 여성이 다르다. 성인 남성의 경우 하루 3L(대략 물 13잔), 여성은 2.2L(물 9잔)를 마시는 것이 권장된다.[19]
어떤 사람들은 따뜻한 음료가 차가운 음료보다 효과가 좋다고 한다. 일단 둘 다 마셔보고 따뜻한 음료가 더 나은 것 같으면 국이나 꿀을 넣은 녹차 등을 마셔보도록 한다. 차가운 음료를 선호한다면 아이스캔디를 빨아 일시적으로 목을 진정시키는 것도 방법이다.[20]
5
부드러운 음식 먹기. 토스트와 거친 표면, 혹은 뾰족한 부분을 가지고 있는 음식을 먹으면 목의 상태가 악화될 수 밖에 없다. 목에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부드러운 음식을 먹는 것이 고통을 덜 느끼는 방법이다. 요거트, 국, 가볍게 조리한 달걀 등을 마시면 표면이 부드러워 통증을 별로 느끼지 않을 것이다.[21]
마르고 거친 음식을 피하면서 매운 음식도 같이 피해주는 것이 좋다. 이외에도 오렌지 주스처럼 산성 음식을 피하면 훨씬 도움이 된다.[22]
활성균이 첨가된 요거트처럼 배양균이 들어간 음식을 섭취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항생제는 병의 원인이 되는 박테리아 이외에도 몸에 도움을 주는 각종 박테리아를 죽이기 때문에 이런 요거트 등의 식품을 섭취해서 빠르게 체내 건강 박테리아 수치를 정상으로 회복할 수 있다.
6
가습기 사용하기. 물을 마시는 것과 함께 가습기를 추가하면 목에 수분을 보급하고 삼키는 행위에서 느끼는 통증이 덜해질 것이다.[23] 이 방법은 특히 밤에 자거나 낮에 낮잠을 잔 뒤에 기상했을 때 목에 평소 이상의 통증을 느끼지 않게 해준다.
가습기를 사용하게 되면 매일 청소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가습기 필터 내부의 환경은 박테리아와 곰팡이가 자라기에 아주 이상적인 환경이기 때문이다. 사용자 설명서를 읽으면서 가습기를 청소해보도록 하자.
가습기나 기화기가 없다면 그릇에 물을 담아 방에 놔두도록 하자. 물이 천천히 마르면서 공기 중에 수분을 보급할 것이다.
7
허브 목캔디나 로젠즈 빨아 먹기. 약용 로젠즈나 목캔디는 아픈 목을 가라앉혀준다. 만약 아이가 패혈성 인후염에 걸렸다면 목캔디를 기도에 걸리지 않고 제대로 먹을 수 있는 나이인지 판단하고 주도록 하자.[24]
목을 진정시키는 성분이 들어간 스프레이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8
목을 자극하는 물질 피하기. 공기 오염이나 담배 연기 등은 목을 자극해 증상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25] 만약 흡연자라면 적어도(물론 완전히 끊는 것이 좋다) 낫는 동안에는 담배를 끊도록 하자. 추가로 간접 흡연도 흡연과 동일하게 목을 자극하므로 피해주도록 한다.
파트
3
패혈성 인후염의 전염 막기
1
손을 따뜻한 물과 비누로 자주 씻기. 패혈성 인후염은 세균성 감염증이기 때문에 회복하고 나서도 제대로 관리를 하지 않으면 주변 사람은 물론 자기 자신도 재감염될 수 있다. 오염된 물건을 가지고 있기만 해도 감염이 될 수 있으니 조심하도록 하자. 가장 중요한 것은 손을 따뜻한 비눗물로 적어도 20초씩 씻어주는 것이다.[26]
손을 씻기 힘든 상황에 처할 것을 알고 있다면 미리 알코올 성분이 들어간 손 소독제를 가지고 다니도록 하자. 적어도 60% 이상이 알코올인 것을 구하도록 하자.
입을 만지지 않도록 한다. 특히 치실질을 할 때 주의하도록 한다. 치실질을 한 뒤나 입을 실수로 만진 뒤에는 꼭 손을 씻어야 한다. 치실질을 하기 전에도 손을 씻어야 구내 감염을 막을 수 있다.
2
칫솔 바꾸기. 항생제를 24시간 이상 복용했다면 이제 구강 내부에 박테리아가 다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칫솔을 바꿔줄 필요가 있다. 그대로 이전 칫솔을 사용하면 다시 감염되어 똑같은 증상을 또 겪을 수도 있다.
3
따뜻한 비눗물에 물건 씻기. 평소에 접촉하는 식기, 컵 등의 물건, 입에 닿는 물건을 뜨거운 물에 비누를 풀어 확실히 씻도록 하자. 박테리아를 완전히 사멸시키기 위해 꼼꼼하게 씻도록 한다.[27]
아팠을 때 입 주위에 있었던 베개 커버나 침대 시트, 이불 등을 빠는 것도 여기에 포함된다. 세탁기를 사용해 세제를 넣고 뜨거운 물로 세탁하도록 한다.
4
재채기나 기침을 할 때 입 가리기. 목이 자극을 받아 기침을 하는 경우 확실히 입을 소매나 손, 티슈를 사용해 막아 주변 사람들이 감염되지 않게 한다.[28] 재채기나 기침을 한 뒤에는 꼭 손을 씻는 것을 잊지 말자.
5
물건 공유하지 않기. 확실히 씻는 것과 함께 아팠을 때 사용한 컵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지 않도록 한다.[29]
경고
이 글에서 패혈성 인후염과 관련된 정보를 다루고는 있지만 의사의 진단이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만약 패혈성 인후염이 의심되는 증상이 발견된다면 일단 병원에 가보도록 한다.
패혈성 인후염은 전염성이 매우 높은 질병이다. 따라서 직장이나 학교에서 쉬고 항생제를 복용한지 24시간이 지나고부터 나가도록 한다.
아플 때에는 다른 사람들을 위해 요리를 하거나 음식을 나르지 않도록 한다.
'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감염 구분하는 법 (0) | 2020.05.18 |
---|---|
물건이나 사람에 대한 집착 이겨내기 (0) | 2020.05.15 |
위산과다증 자연적인 방법으로 치료하기 (0) | 2020.05.12 |
파리 잡는 방법 (0) | 2020.01.10 |
장례식에 적합한 옷차림을 하는 방법 (0) | 2020.01.09 |